부활절의 상징, 토끼 백합 달걀 어린양

Posted by 말리꽃향기
2019. 4. 9. 07:15 라이프&여행
반응형

부활절의 상징

부활절을 상징하는 것들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어린양

 

인간들을 대신해 죽으셨다가 부활하신 예수님은

흔히 유월절 어린양으로 상징됩니다. 

 

이는 구약 시대의 절기인 유월절에 어린양이

백성들을 위해 희생 제물로 쓰였듯이 

예수 그리스도가 친히 인간들을 위해 희생이 이 되어

인간의 죄를 대속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중세 기독교인들은 

어린양을 음식으로 만들어 먹으며 

승리의 어린양이 되신 그리스도를 기념했습니다. 

 

 

 

 

 

 

 

 

 

이 풍습은 지금도 유럽 들디에서 행해지며 

혹은 양 모양의 형상을 만들어 음식이나

그 밖의 부활절 장식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양고기를 잘 먹지 않는 한국교회에서는 

찿아보기 힘든 풍습이랍니다. 

 

 

 

 

백합

 

성경에서 백합은 미와 완전한 선의 상징입니다. 

 

이러한 백합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처음 사용한 나라는 미국인데, 

미국인들이 부활절과 관련하여 주로 사용하는 백합은 

일명 버뮤다 백합이었습니다.

 

 

 

 

이 백합은 원래 일본에서 버뮤다로 전해졌다가 

1882년에 미국에 전래되었던 꽃입니다. 

 

이 백합이 부활절의 미지를 잘 표현할 뿐 아니라, 

그 피는 시기도 부활절에 즈음하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백합은 미국 뿐 아니라

세계 여러나라에서 주요한 부활절 장식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답니다.

 

 

 

부활절 산토끼

 

토끼가 부활절의 상징이 된것은 

다름아님 이스터(Easter)여신 때문입니다. 

앵글로 색슨족이 이스터 여신을 숭배하는 풍습에

기독교가 합해져서 부활절이 생겨나면서 

이스터 여신을 상징하는 산토끼도 같이 

받아들여지게 된것이랍니다. 

 

영어권 기독교 국가나 독일에서는 

부활절 토끼 풍습이 있어서

부활절날 부활절 달걀을 감춰두고

아이들에게 부활절 토끼가 숨겨둔 계란을 찿아보게 한답니다. 

 

 

 

 

 

 

달걀

 

부활의 상징으로 쓰이느 계란은

 마치 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새 생명을 준하는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부활절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며

달걀을 예쁘게 장식하고 선물로 주고 받습니다. 

 

이 풍습의 유래는 유럽에서 십자군 전쟁이

일어났을 즈음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로자린드 부인은 남평이 십자군 전쟁에 나간 뒤

나쁜 사람들에게 집을 빼앗겨

먼 살골로 피해 살게 되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불쌍한 로자린드 부인에게 

친절하게 대해주었습니다. 

그 부인은 그 친절의 보답으로 부활절에 마을

어린이들을 모아 맛있는 음식을 대접하고

예수님의 부활에 대한 상징으로 

예쁘게 색칠한 달걀을 하나씩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 달걀에는 부인이 직접 쓴 

'하나님의 사랑을 믿자' 라고 적혀 있었는데

그 것은 바로 로자린드 집안의 가훈이었습니다. 

 

 

 

 

어느 해 부활절 날 부인은 길에서 

병든 어머니를 찿아가고 있는 어린 소년을 만났습니다. 

부인은 그 소년을 위로하고 

가지고 있던 색 달걀을 하나 주었습니다. 

 

부인과과 헤어진 그 소년은 

어머니를 찿아가는 중에 한 산골에서 

병든 군인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소년은 군인을 보살펴주고

로자린드 부인에게 받았던 달걀을 주었습니다. 

그것을 받아 든 군인은 그 달걀에 적힌 글을 보고 

너무 놀랐습니다.. 

 

바로 자기 집안의 가훈이었던것이지요.

 

군인은 그 소년에게 물어서 결국 아내를 

다시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부인은 그 후에도 해마다 부활절이 되면 

자신의 남편을 찿아준 색 달걀을 

이웃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이것이 유래가 되어 오늘에도 부활절이 되면

 메시지를 담은 색 달걀을 나누어주며

 예수님의 부활을 축하하는 것입니다. 

 

 

반응형